본문 바로가기
이슈정보

SPSS 통계분석 용어 개념,정리(SPSS란, 최빈값, 중위수, 평균값, 표준편차, 표준오차, 왜도, 첨도)

by 요엘¹ 2020. 11. 16.
반응형

사회현상이나 설문조사에서

데이터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많이 활용하실텐데요!

 

이번 포스팅은 SPSS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개념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

.

우선 SPSS란,

 SPSS는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의 약자로

통계적 분석과 데이터 마이닝 등에 사용되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이에요.

 

SPSS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최빈값이란,

특정 질문의 항목에 가장 많이 나온 값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한 학급의 성적을 내본 결과,

60점 맞은 사람이 많았다면

60점이 최빈값이 되는 거죠~

 

그리고 특정질문 항목에

변수값이 몰려있다는 것은

사람들의 관심이 가장 높다는 것을 의미해요.

 

그러나 여러 조사를 하다 보면

최빈값이 여러 개인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통계분석 기법의 의미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어요.

출처:http://www.moonrepeat.org/wiki/doku.php?id=start

중위수란,

평균값처럼 집단의 성격을 대표하는

통계 분석 기법의 하나입니다.

 

쉽게 말해 중위수는

가운데 있는 수예요! 

1-50등까지 있을 때 25등이 중위수가 됩니다.

 

평균값은 산술평균을 의미하는데요-

즉, 변수가 어떻게 집중화되어 있는지 알 수 있어요.

 

따라서 변수값에서

대표되는 수치를 찾아내어

집단의 성격을 파악하는 분석기법이 평균값분석이라는 것!

 

표준편차는 평균값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지

알 수 있는 산포도 측정 도구입니다.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평균값 주변에 몰려 있고,

클수록 평균값에서 떨어져 있게 되요. 

표준오차란,

특정 질문 항목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평균값을 알아보는 추측, 예측의 개념인데요.

 

표준오차는 표준편차를 전체 표본수의 루트값으로 도출되며,

사회현상에 100%란 있을 수 없기에...

(어떻게 100퍼가 있겠숩니까ㅠㅠ)

미리 몇 퍼센트의 오차율을 설정하여 통계분석을 하게 되죠.

 

왜도

빈도분포가 평균값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정도를 말하구요,

 

첨도

주어진 빈도분포 곡선이 정규분포 곡선에 비해

꼭지점이 높은지 낮은지, 그 정도를 일컫는 용어랍니다..!

 

비슷한 값을 택한 응답자가 많으면

곡선이 편편한 부의 첨도를 나타내고,

아주 다른 값을 택한 응답자가 많으면

뾰족한 정의 첨도가 나타나게 되지요!

.

.

위와 같이  이번 포스팅에서는

SPSS에서 일컫는 용어들의 개념을 알아봤어요.

궁금한 점은 아래 댓글 달아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