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정보

마키아벨리,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사상!(생애/철학/저서)

by 요엘¹ 2020. 12. 9.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마키아벨리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철학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니콜로 마키아벨리 (1469–1527)

이탈리아의 정치가이자 작가입니다. 시민 변호사의 아들인 마키아벨리의 철학에 대한 지식은 정치적으로 불안정했던 피렌체에서 기인되어 형성되었습니다.  그는 제2대 수상 (1498–1512)을 역임했고, 프랑스, 독일 및 이탈리아 전역으로 파견된 임무에 파견되었습니다. 짧은 수감 기간과 메디치 통치의 회복 후에, 마키아벨리는 문학계에 입문했습니다. 1532년에 출판된 그의 주요 작품인 "The Prince(군주론)"는 당시 시민들에게 많은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 책은 그의 시대를 지배했던 정치권력과 체사레 보르지아의 국가통치법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통일된 이탈리아 국가의 미래 통치법을 위한 안내서로 쓰여졌습니다.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요약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joeleun.tistory.com/26

 

마키아벨리 _ 군주론 요약(분석/해석/개념/줄거리)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을 통해 신생국가는 강하고 폭압적인 군주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까닭에 금서로 오랫동안 지정되었고, ‘악마의 통치서’라는 오명을 벗어나지 못했

joeleun.tistory.com

아리스토텔레스 (기원전 384–322년)


그리스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제자이자 젊은 알렉산더 황제의 가정교사였습니다. 그는 기원전 335년에 아테네에서 자신만의 철학 학교를 설립했습니다. 이 학교를 두고 그는 '페리파테틱스 스쿨'이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강의 교재로서 편집된 그의 22편의 생존 논문들은 논리학, 물리학, 형이상학, 천문학, 기상학, 생물학, 윤리학, 정치학을 망라하고 있습니다. 중세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이 이슬람 철학의 토대가 되었고, 이후 기독교 신학에 편입되었습니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저서는 '정치학'인데, 그는 도시국가를 미덕과 정의의 근간으로 묘사하고, 민주주의가 과두정치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했습니다.

.

.

.

하지만 마키아벨리와 같이 정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이들은 개개인이 사리사욕적이기 때문에 정치가 부패한다는 본질을 잊은 듯 합니다. 왜냐하면 권력자들도 마찬가지로 개인적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들의 희생을 강요하도록 조장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액튼(1834–1902)의 명언에서도 잘 드러납니다. 

 

'권력은 부패하는 경향이 있고, 절대 권력은 절대적으로 부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정치를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이 정치를 부정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즉, 권위로 한정된 자원을 배분하기 위한 어떤 메커니즘도 없다면, 사회는 초기 사회계약 이론가들이 주장했던 것처럼, 간단히 모든 사람들에 대한 힘에 의해 종속될 것입니다. 따라서 정치인과 정치 자체를 종식시키는 것이 아니라, 정치권이 남용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견제와 제약의 틀 안에서 정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존 달버그 액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