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주의 이념s 분석! (전통적 현실주의, 신현실주의, 패권안정이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실주의 이념들 중 전통적 현실주의, 신현실주의, 패권안정이론 각 이론의 탄생배경, 의미, 개념, 특징, 장단점, 한계 등을 비교하겠습니다. 전통적 현실주의는 행위주체를 국가라고 본다. 여기서 국가는 이기적이고 합리적이며 단일한 존재이다. 국제질서 본질은 무정부상태이며, 이기적인 국가들의 집합이라고 규정한다. 따라서 국가는 힘이 중요하며, 힘이 이익증진수단이요 목적이라고 규정한다. 한스 모겐서 6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정치는 인간에게 내제된 객관적인 인간성에 영향을 받으며, 둘째, 국가행위동기는 ‘권력으로 정의된 국가이익’을 쫓으며, 셋째, 국제정치는 권력투쟁과 같다고 제시한다. 넷째는 도덕원리, 즉 보편적인 원리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다섯째, 각 국가들의 도덕원칙을 일..
2020. 11. 12.
자유주의 분석(상호의존론 세계사회론 신자유주의론 개념)
자유주의의 핵심은 개인의 자유이다. 현실주의자들과 달리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고 보지 않는다. 따라서 아담스미스의 방임주의에 근거하여 조화를 이루고 평화를 이룩하여 전쟁을 억제할 수 있다고 믿는다. 무정부적인 국제관계를 개혁하기 위해 국제법, 조직, 제도, 세계시민, 윤리가 필요하고 이에 입각하여 자유주의적 가치들이 실현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자유주의 패러다임은 1970년대 상호의존론, 세계사회론과 같은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들의 등장으로 이루어졌다. 이 배경에는 데탕트의 도래, 핵경쟁의 중요성 감소, 미국의 대 베트남전 패배, 유럽과 일본의 경제적 조약, 1973년 석유위기, 경제문제의 중요성과 비국가적 행위자의 역할 중요성 증대가 그 요인으로 작용했다. 상호의존론은 복합적 상호의존 속에서 국가들은 ..
2020. 11. 12.